Skip to main content

C++ of the Day #13 - Boost.Python 사용하기 #4

오늘은 Boost.Python에 관한 마지막 글로 이전 글들 ((http://ideathinking.com/blog/?p=35
http://ideathinking.com/blog/?p=38
http://ideathinking.com/blog/?p=39
)) 에서 언급되었던 자동 코드 생성 도구인 Pyste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Requirements

먼저 준비해야 할 것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pyste
    <your path>/boost_1_33_1/libs/python/pyste/install 디렉토리에서 다음과 같이 pyste를 인스톨합니다.
    python setup.py install
    
  2. elementtree library
  3. Cmake
  4. GCCXML
    gccxml 은 다운로드 버전보다는 cvs 버전을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 환경에 따라 이전 버전은 컴파일이 안되더군요. ((집에서 사용하는 Ubuntus에서는 컴파일이 되지 않아 cvs 버전을 사용했습니다.))
    다음과 같이 인스톨합니다.
    $ mkdir gccxml-build
    $ cd gccxml-build
    $ cmake ../gccxml
    $ make
    $ make install
    

Usage

먼저 이번에 사용할 코드는 이전에 사용하였던 것과 같은 Point 클래스 코드입니다.
#include <string>
#include <sstream>
#include <iostream>

class Point
{
public:
  Point(int x = 0, int y = 0) : x_(x), y_(y) {
  }
  void x(int x) {
    x_ = x;
  }
  void y(int y) {
    y_ = y;
  }
  int x() const {
    return x_;
  }
  int y() const {
    return y_;
  }
  void set(int x = 0, int y = 0) {
    x_ = x;
    y_ = y;
  }
  std::string to_s() const {
    std::ostringstream ss;
    ss << "(" << std::dec << x_ << ", " << y_ << ")";
    return ss.str();
  }
private:
  int x_, y_;
};
이전과 다른 점은 BOOST_PYTHON_MODULE(point)과 같이 python 을 위한 코딩이 없다는 점이죠. 그럼 이전에 손으로 작업했던 이러한 코드를 pyste를 사용해 자동으로 만들기 위해 아래와 같이 point.pyste 라는 파일을 작성합니다.
Class("Point", "point.cpp")
위의 문법은 "Point 클래스를 python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해달라. 만들 Point 클래스의 선언은 point.cpp 파일안에 있다"라는 뜻입니다. 우리의 파일은 .cpp에 Point 클래스가 선언되어 있기 때문에 point.cpp 함수를 적어주었지만 일반적인 경우엔 .h 파일이 들어가겠죠. 그리고 기타 전역이나 namespace 영역에 함수들은 없이 클래스만 하나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이 한줄만 적어주면 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pyste를 실행시킵니다. 원래 결과 출력 파일의 default naming은 &original file>.cpp 인데 이미 우리 파일의 이름이 point.cpp이기 때문에 --out 옵션을 주어 출력 파일명을 바꾸었습니다.
pyste.py --module=point --out pointlib.cpp point.pyste 
결과로 생성된 pointlib.cpp 파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전 글들에서 손으로 작성하였던 문법들이 자동으로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Point 클래스가 선언된 파일로 point.cpp 를 사용했기 때문에 point.cpp 가 #include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Boost Includes ==============================================================
#include <boost python.hpp>
#include <boost cstdint.hpp>

// Includes ====================================================================
#include <point.cpp>

// Using =======================================================================
using namespace boost::python;

// Declarations ================================================================
namespace  {

BOOST_PYTHON_MEMBER_FUNCTION_OVERLOADS(Point_set_overloads_0_2, set, 0, 2)


}// namespace 


// Module ======================================================================
BOOST_PYTHON_MODULE(point)
{
class_< Point >("Point", init< const Point& >())
.def(init< optional< int, int > >())
.def("x", (void (Point::*)(int) )&Point::x)
.def("y", (void (Point::*)(int) )&Point::y)
.def("x", (int (Point::*)() const)&Point::x)
.def("y", (int (Point::*)() const)&Point::y)
.def("set", &Point::set, Point_set_overloads_0_2())
.def("to_s", &Point::to_s)
;

}
자 그럼 이렇게 나온 pointlib.cpp를 가지고 python 확장 모듈을 만들어 봅시다. 아래와 같은 setup.py를 사용하면 되겠죠. 여기서 sources 부분에 pointlib.cpp만 있고 point.cpp는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이유는 pointlib.cpp에서 point.cpp를 통째로 #include 했기 때문이죠. 만약 Point 클래스가 .h와 .cpp로 나누어져 있었다면 sources 부분에 point.cpp도 포함되어야 합니다.
from distutils.core import setup, Extension

module1 = Extension('point',
include_dirs = ['<your path="">/include'],
libraries = ['boost_python'],
library_dirs = ['<your path="">/lib'],
sources = ['pointlib.cpp'])

setup (name = 'point',
version = '1.0',
description = 'This is a demo package',
ext_modules = [module1])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확장 모듈을 사용한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 from point import Point
>>> x = Point(1)
>>> x.to_s()
'(1, 0)'
>>> x.x()
1
>>> x.y()
0
>>> x.x(3)
>>> x.x()
3


Conclusion

이번까지 네번에 걸쳐 Boost.Python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생각보다 간단히 C++ 객체를 python에서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럼 이제 여러분들도 프로그래밍 언어간의 fusion을 경험해보세요~ ;-)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1의 개수 세기 - 해답

벌써 어제 말한 내일이 되었는데 답을 주신 분이 아무도 없어서 좀 뻘쭘하네요. :-P 그리고 어제 문제에 O(1)이라고 적었는데 엄밀히 얘기하자면 O(log 10 n)이라고 적었어야 했네요. 죄송합니다. ... 문제를 잠시 생각해보면 1~n까지의 수들 중 1의 개수를 얻기 위해서는 해당 숫자 n의 각 자리의 1의 개수가 모두 몇개나 될지를 구해서 더하면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3이라는 수를 생각해 보면 1~13까지의 수에서 1의 자리에는 1이 모두 몇개나 되는지와 10의 자리에는 모두 몇개나 되는지를 구해 이 값을 더하면 됩니다. 먼저 1의 자리를 생각해 보면 1, 11의 두 개가 있으며 10의 자리의 경우, 10, 11, 12, 13의 네 개가 있습니다. 따라서 2+4=6이라는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번엔 234라는 수에서 10의 자리를 예로 들어 살펴 보겠습니다. 1~234라는 수들 중 10의 자리에 1이 들어가는 수는 10, 11, ..., 19, 110, 111, ... 119, 210, 211, ..., 219들로 모두 30개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규칙들을 보면 해당 자리수의 1의 개수를 구하는 공식을 만들 수 있습니다. 234의 10의 자리에 해당하는 1의 개수는 ((234/100)+1)*10이 됩니다. 여기서 +1은 해당 자리수의 수가 0이 아닌 경우에만 더해집니다. 예를 들어 204라면 ((204/100)+0)*10으로 30개가 아닌 20개가 됩니다. 이런 방식으로 234의 각 자리수의 1의 개수를 구하면 1의 자리에 해당하는 1의 개수는 ((234/10)+1)*1=24개가 되고 100의 자리에 해당하는 개수는 ((234/1000)+1)*100=100이 됩니다. 이들 세 수를 모두 합하면 24+30+100=154개가 됩니다. 한가지 추가로 생각해야 할 점은 제일 큰 자리의 수가 1인 경우 위의 공식이 아닌 다른 공식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123에서 100의 자리에 해당하는 1의 개수는 ((123/1...

CodeHighlighter plugin test page.

This post is for testing CodeHighlighter plugin which uses GeSHi as a fontifier engine. ((Those code blocks are acquired from Google Code Search .)) ((For more supported languages, go CodeHighlighter plugin or GeSHi homepage.)) C++ (<pre lang="cpp" lineno="1">) class nsScannerBufferList { public: /** * Buffer objects are directly followed by a data segment. The start * of the data segment is determined by increment the |this| pointer * by 1 unit. */ class Buffer : public PRCList { public: Buffer() { ++index_; } PHP (<pre lang="php" lineno="4">) for ($i = 0; $i $value = ord( $utf8_string[ $i ] ); if ( $value < 128 ) { // ASCII $unicode .= chr($value); } else { if ( count( $values ) == 0 ) { $num_octets = ( $value } $values[] = $value; Lisp (<pre lang="lisp">) ;;; Assignment (define-caller-pattern setq ((:star var fo...

Coverity Prevent - 소스 코드 검사 도구

이번에 회사에서 소스 코드 검사 도구를 하나 구입하는데 이것저것 비교해본 결과 Coverity Prevent 라는 툴이 가장 좋아 이걸로 결정했다고 하더군요. 간단히 말하자면 Lint 처럼 소스 코드에 대해 static analysis를 하는 도구입니다. 그래서 시험삼아 돌려본 결과를 보게 되었는데 그 품질이 정말 놀랍군요. 메모리 릭이나 초기화하지 않은 변수, 버퍼 오버런, null 체크등등 거의 정확하게 에러를 보고해 줍니다. 다음은 전체 코드에서 발견된 문제점들을 리스트 형태로 보여주는 화면입니다. 정말 많군요. ;-) 다음은 이중 하나의 에러를 자세히 보기 위해 선택하여 들어간 화면입니다. 소스 코드에 라인번호와 에러가 발생한 위치, 에러가 발생할 수 있는 조건들을 자세히 보여줍니다. 정말 '와우!'입니다. 각 함수와 같은 이름들을 클릭하면 그 함수로 바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사용해보니 개인적으로는 purify 같은 runtime 검사 도구보다 더 맘에 드는군요. 사실 Lint 계열의 도구들은 한번도 사용해본 적이 없는데 다른 것들도 한번 구해다 써봐야겠습니다. 이 툴의 유일한 문제는 비싸다는 것이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