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A History of CLU

Checked exception 관련 글들을 찾아 보다가 읽게 된 문서입니다. CLU라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개발하게 된 배경과 과정에 대한 내용인데 정말 재밌네요. 참고로 문서가 좀 길어보이지만 한 1/3은 부록입니다. :)

A History of CLU

거의 30~40년전 이야기인데 현재 사용하고 있는 언어들이 여기서 앞으로 많이 나간것 같아 보이지 않네요.
As mentioned, the concept of data abstraction arose out of work on structured programming and modularity that was aimed at a new way of organizing programs. The resulting programming methodology is object-oriented.
A keystone of the methodology is its focus on independence of modules.
Achieving independence requires two things: encapsulation and specification.
Specifications are needed to describe what the module is supposed to do in an implementation-independent way so that many different implementations are allowed. (Code is not a satisfactory description since it doesn’t distinguish what is required from ways of achieving it. One of the striking aspects of much of the work on object-oriented programming has been its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specifications; instead the code is taken as the definition of behavior.)
Specifications also allow code that uses the abstraction to be written before code that implements the abstraction, and therefore are necessary if you want to do top-down implementation.
In essence, having a language enforce encapsulation means that the compiler proves a global property of a program; given this proof, the rest of the reasoning can be localized.
CLU favors program readability and understandability over ease of writing, since we believed that these were more important for our intended users.
We worked on the implementation in parallel with the design. We did not allow the implementation to define the language, however.

이 글을 읽고나니 Kent Beck이 세미나에서 언급했던 Structured Design이라는 책이 읽고 싶어지네요. Kent Beck도 이 책을 언급하며 수십년전에 쓰여진 책인데 필요한 내용이 전부 있다... 뭐 이렇게 소개했었던 것 같은데...

Comments

  1. 일상적으로 쓰이는 언어들만 보면 지금의 프로그래밍 언어가 30년 전에서 많이 바뀌지 않은 것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저 언어가 30년 전에 일상적으로 쓰이지는 않았을 거라고 생각해보면 발전은 분명 존재하죠. Haskell 같은 언어도 곧 일상적으로 쓰일 거라고 봅니다.

    ReplyDelete
  2. Twitter에서도 Scala를 쓴다는 걸 보니 Haskell같은 functional programming language들은 곧 자리를 잡지 않을까 싶습니다.

    암튼 30년전에 object-oriented programming이 이미 연구되었듯이 지금은 어떤 미래의 개념들이 연구되고 있는지 궁금하네요.

    ReplyDelete

Post a Comment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1의 개수 세기 - 해답

벌써 어제 말한 내일이 되었는데 답을 주신 분이 아무도 없어서 좀 뻘쭘하네요. :-P 그리고 어제 문제에 O(1)이라고 적었는데 엄밀히 얘기하자면 O(log 10 n)이라고 적었어야 했네요. 죄송합니다. ... 문제를 잠시 생각해보면 1~n까지의 수들 중 1의 개수를 얻기 위해서는 해당 숫자 n의 각 자리의 1의 개수가 모두 몇개나 될지를 구해서 더하면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3이라는 수를 생각해 보면 1~13까지의 수에서 1의 자리에는 1이 모두 몇개나 되는지와 10의 자리에는 모두 몇개나 되는지를 구해 이 값을 더하면 됩니다. 먼저 1의 자리를 생각해 보면 1, 11의 두 개가 있으며 10의 자리의 경우, 10, 11, 12, 13의 네 개가 있습니다. 따라서 2+4=6이라는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번엔 234라는 수에서 10의 자리를 예로 들어 살펴 보겠습니다. 1~234라는 수들 중 10의 자리에 1이 들어가는 수는 10, 11, ..., 19, 110, 111, ... 119, 210, 211, ..., 219들로 모두 30개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규칙들을 보면 해당 자리수의 1의 개수를 구하는 공식을 만들 수 있습니다. 234의 10의 자리에 해당하는 1의 개수는 ((234/100)+1)*10이 됩니다. 여기서 +1은 해당 자리수의 수가 0이 아닌 경우에만 더해집니다. 예를 들어 204라면 ((204/100)+0)*10으로 30개가 아닌 20개가 됩니다. 이런 방식으로 234의 각 자리수의 1의 개수를 구하면 1의 자리에 해당하는 1의 개수는 ((234/10)+1)*1=24개가 되고 100의 자리에 해당하는 개수는 ((234/1000)+1)*100=100이 됩니다. 이들 세 수를 모두 합하면 24+30+100=154개가 됩니다. 한가지 추가로 생각해야 할 점은 제일 큰 자리의 수가 1인 경우 위의 공식이 아닌 다른 공식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123에서 100의 자리에 해당하는 1의 개수는 ((123/1...

CodeHighlighter plugin test page.

This post is for testing CodeHighlighter plugin which uses GeSHi as a fontifier engine. ((Those code blocks are acquired from Google Code Search .)) ((For more supported languages, go CodeHighlighter plugin or GeSHi homepage.)) C++ (<pre lang="cpp" lineno="1">) class nsScannerBufferList { public: /** * Buffer objects are directly followed by a data segment. The start * of the data segment is determined by increment the |this| pointer * by 1 unit. */ class Buffer : public PRCList { public: Buffer() { ++index_; } PHP (<pre lang="php" lineno="4">) for ($i = 0; $i $value = ord( $utf8_string[ $i ] ); if ( $value < 128 ) { // ASCII $unicode .= chr($value); } else { if ( count( $values ) == 0 ) { $num_octets = ( $value } $values[] = $value; Lisp (<pre lang="lisp">) ;;; Assignment (define-caller-pattern setq ((:star var fo...

Coverity Prevent - 소스 코드 검사 도구

이번에 회사에서 소스 코드 검사 도구를 하나 구입하는데 이것저것 비교해본 결과 Coverity Prevent 라는 툴이 가장 좋아 이걸로 결정했다고 하더군요. 간단히 말하자면 Lint 처럼 소스 코드에 대해 static analysis를 하는 도구입니다. 그래서 시험삼아 돌려본 결과를 보게 되었는데 그 품질이 정말 놀랍군요. 메모리 릭이나 초기화하지 않은 변수, 버퍼 오버런, null 체크등등 거의 정확하게 에러를 보고해 줍니다. 다음은 전체 코드에서 발견된 문제점들을 리스트 형태로 보여주는 화면입니다. 정말 많군요. ;-) 다음은 이중 하나의 에러를 자세히 보기 위해 선택하여 들어간 화면입니다. 소스 코드에 라인번호와 에러가 발생한 위치, 에러가 발생할 수 있는 조건들을 자세히 보여줍니다. 정말 '와우!'입니다. 각 함수와 같은 이름들을 클릭하면 그 함수로 바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사용해보니 개인적으로는 purify 같은 runtime 검사 도구보다 더 맘에 드는군요. 사실 Lint 계열의 도구들은 한번도 사용해본 적이 없는데 다른 것들도 한번 구해다 써봐야겠습니다. 이 툴의 유일한 문제는 비싸다는 것이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