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Common Lisp 설치하기

왠지 요새 Lisp을 공부해야될것만 같은 기분이 들어 책을 빌려 보기 시작했습니다. ((Practical Common Lisp, Peter Seibel, APRESS, 2005)) Ruby에 Lisp에... 요새 갑자기 모르는 프로그래밍 언어 공부에 필받았네요. ;-)
이번 글은 제가 사용하기로 한 SBCL와 SLIME의 설치 방법입니다.

Requirements

  1. Linux 머신
  2. emacs
  3. SBCL: Steel Bank Common Lisp
  4. SLIME: The Superior Lisp Interaction Mode for Emacs
SLIME는 emacs의 mode로 Lisp 프로그래밍을 위한 IDE라고 보시면 됩니다. ((Inter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Installation

SBCL

  1. 다운받은 sbcl-0.9.12-x86-linux-binary.tar.bz2의 압축을 풉니다.
  2. $ sh install.sh을 실행시킵니다.
    - 이때 root 권한이 없어 자신의 홈디렉토리 밑에다 생성해야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INSTALL_ROOT 환경 변수를 셋팅한 후 install.sh을 실행시킵니다. 아래 내용은 자신의 홈디렉토리 밑에 생성한 경우를 대상으로 설명합니다.
    $ export INSTALL_ROOT=${HOME}
    
  3. 환경 변수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추가합니다.
    export PATH=${PATH}:${HOME}/bin
    export SBCL_HOME=${HOME}/lib/sbcl
    
  4. $ sbcl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지 확인합니다.

SLIME

  1. 다운받은 slime-2.0.zip의 압축을 풉니다.
  2. 디렉토리의 이름을 slime으로 바꾼 후 적당한 디렉토리로 옮겨 놓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아래 디렉토리를 사용했습니다.
    ${HOME}/etc/slime
  3. emacs 파일에 아래 내용을 추가합니다.
    (add-to-list 'load-path "~/etc/slime/") ; your SLIME directory
    (setq inferior-lisp-program "~/bin/sbcl") ; your Lisp system
    (require 'slime)
    (slime-setup)
    
    (setq auto-mode-alist (cons '(".cl$" . lisp-mode) auto-mode-alist))

Usage

  1. emacs를 실행시킵니다.
  2. M-x slime을 입력하면 CL-USER> 프롬프트가 나오는 창이 생성됩니다. 이 창이 REPL 창입니다. ((Read-Eval-Print Loop))
  3. 끝내려면 콤마(,) 입력 후 quit를 입력합니다.
  4. 수행 도중 debug 모드에서 나오려면 'q' 를 입력합니다.

간단한 키바인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키 ^ 의미 ^
| C-c C-q | 괄호 닫기 |
| C-c C-c | 컴파일 |
| C-c C-l | 파일 로딩 |
| C-c C-k | 현재 버퍼 컴파일 & 로딩 |

이제 Lisp 프로그래밍을 해볼까요?

CL-USER> (+ 2 3)
5
CL-USER> (format t "Hello, world")
Hello, world
NIL

:-)

Comments

  1. Practical Common Lisp은 어디서 빌리신 건가요? 이 책을 소장한 공공도서관이 있나요?

    ReplyDelete
  2. 아뇨... 회사 도서관에서.
    절반쯤 보다가 반납했습니다. ANSI Common Lisp이라는 책이 또 나왔던데... 책을 빌려보는 것의 단점으로 다른 사람이 예약하면 2주만에 반납해야 해서 자꾸 흐름이 끊기네요. 한권 사야 할런지... :-|
    덕분에 아직 lisp의 강력함에 반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

    ReplyDelete
  3. iwongu님의 수준에 도움이 되실지 모르겠지만 전 처음에 http://www.lisperati.com/ 여길 접속해서 풍미를 익혔습니다.

    ReplyDelete
  4. lisp에 관해선 아직 수준이랄만한게 없습니다. 추천해 주신 사이트로 저도 lisp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을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

    ReplyDelete

Post a Comment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1의 개수 세기 - 해답

벌써 어제 말한 내일이 되었는데 답을 주신 분이 아무도 없어서 좀 뻘쭘하네요. :-P 그리고 어제 문제에 O(1)이라고 적었는데 엄밀히 얘기하자면 O(log 10 n)이라고 적었어야 했네요. 죄송합니다. ... 문제를 잠시 생각해보면 1~n까지의 수들 중 1의 개수를 얻기 위해서는 해당 숫자 n의 각 자리의 1의 개수가 모두 몇개나 될지를 구해서 더하면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3이라는 수를 생각해 보면 1~13까지의 수에서 1의 자리에는 1이 모두 몇개나 되는지와 10의 자리에는 모두 몇개나 되는지를 구해 이 값을 더하면 됩니다. 먼저 1의 자리를 생각해 보면 1, 11의 두 개가 있으며 10의 자리의 경우, 10, 11, 12, 13의 네 개가 있습니다. 따라서 2+4=6이라는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번엔 234라는 수에서 10의 자리를 예로 들어 살펴 보겠습니다. 1~234라는 수들 중 10의 자리에 1이 들어가는 수는 10, 11, ..., 19, 110, 111, ... 119, 210, 211, ..., 219들로 모두 30개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규칙들을 보면 해당 자리수의 1의 개수를 구하는 공식을 만들 수 있습니다. 234의 10의 자리에 해당하는 1의 개수는 ((234/100)+1)*10이 됩니다. 여기서 +1은 해당 자리수의 수가 0이 아닌 경우에만 더해집니다. 예를 들어 204라면 ((204/100)+0)*10으로 30개가 아닌 20개가 됩니다. 이런 방식으로 234의 각 자리수의 1의 개수를 구하면 1의 자리에 해당하는 1의 개수는 ((234/10)+1)*1=24개가 되고 100의 자리에 해당하는 개수는 ((234/1000)+1)*100=100이 됩니다. 이들 세 수를 모두 합하면 24+30+100=154개가 됩니다. 한가지 추가로 생각해야 할 점은 제일 큰 자리의 수가 1인 경우 위의 공식이 아닌 다른 공식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123에서 100의 자리에 해당하는 1의 개수는 ((123/1...

CodeHighlighter plugin test page.

This post is for testing CodeHighlighter plugin which uses GeSHi as a fontifier engine. ((Those code blocks are acquired from Google Code Search .)) ((For more supported languages, go CodeHighlighter plugin or GeSHi homepage.)) C++ (<pre lang="cpp" lineno="1">) class nsScannerBufferList { public: /** * Buffer objects are directly followed by a data segment. The start * of the data segment is determined by increment the |this| pointer * by 1 unit. */ class Buffer : public PRCList { public: Buffer() { ++index_; } PHP (<pre lang="php" lineno="4">) for ($i = 0; $i $value = ord( $utf8_string[ $i ] ); if ( $value < 128 ) { // ASCII $unicode .= chr($value); } else { if ( count( $values ) == 0 ) { $num_octets = ( $value } $values[] = $value; Lisp (<pre lang="lisp">) ;;; Assignment (define-caller-pattern setq ((:star var fo...

Coverity Prevent - 소스 코드 검사 도구

이번에 회사에서 소스 코드 검사 도구를 하나 구입하는데 이것저것 비교해본 결과 Coverity Prevent 라는 툴이 가장 좋아 이걸로 결정했다고 하더군요. 간단히 말하자면 Lint 처럼 소스 코드에 대해 static analysis를 하는 도구입니다. 그래서 시험삼아 돌려본 결과를 보게 되었는데 그 품질이 정말 놀랍군요. 메모리 릭이나 초기화하지 않은 변수, 버퍼 오버런, null 체크등등 거의 정확하게 에러를 보고해 줍니다. 다음은 전체 코드에서 발견된 문제점들을 리스트 형태로 보여주는 화면입니다. 정말 많군요. ;-) 다음은 이중 하나의 에러를 자세히 보기 위해 선택하여 들어간 화면입니다. 소스 코드에 라인번호와 에러가 발생한 위치, 에러가 발생할 수 있는 조건들을 자세히 보여줍니다. 정말 '와우!'입니다. 각 함수와 같은 이름들을 클릭하면 그 함수로 바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사용해보니 개인적으로는 purify 같은 runtime 검사 도구보다 더 맘에 드는군요. 사실 Lint 계열의 도구들은 한번도 사용해본 적이 없는데 다른 것들도 한번 구해다 써봐야겠습니다. 이 툴의 유일한 문제는 비싸다는 것이랍니다. :-)